본문 바로가기
건설업 Trend ('25~)

[건설 Trend] 4월 1주차 – ② 원전·SMR·수소로 갈아타는 건설사들

by 일상, 아이디어 2025. 4. 7.

원전, SMR, 수소로 갈아타는 건설사들

 

📌 이 글은 매주 월요일 업데이트되는 [건설 트렌드] 시리즈입니다.
      주요 키워드: #원전수주, #SMR건설사, #건설업미래전략, #에너지전환, #건설해외진출

 

에너지·글로벌·미래 먹거리로 방향 튼 건설사들

1부가 ‘위기의 현재’를 다뤘다면, 2부는 건설업계의 대응 전략과 미래 산업 확장 흐름을 조명합니다.
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서도, 건설사들은 신사업 개척, 해외 수주, 에너지 산업 진출이라는
‘새 판 짜기’에 본격 돌입했습니다.


🔹 1. 불확실성 속, 건설사 “새 정부 정책 맞춰 전략 리셋할 것”

👉 기사 보기

  • 정치 불확실성(탄핵 → 대선) 속에 기존 전략 '일시 정지'
  • 건설사들 “새 정부 정책에 따라 리스크 분산·신규 투자 재조정” 입장

분석:
정책 방향 불확실성 → 공공·정비사업 모두 보류 국면
대형사는 해외·에너지 중심 재편, 중소사는 리스크 방어 집중


🔹 2. "주택으론 못 버틴다"…수소·원전으로 새 먹거리 개척

👉 기사 보기

  • 대형 건설사들, 수소 플랜트·원전·SMR 등 에너지 중심 신사업에 집중
  • 미래 인프라 + 글로벌 수주 노림수

분석:
주택 수익 감소 보완용 → 정부 주도형, ESG 사업 중심으로 전환
기술 확보 + 국책 연계 여부가 관건


🔹 3. 건설사, 유럽·미국으로 SMR(소형모듈원전) 수주 노린다

👉 기사 보기

  • 삼성물산, 한화, 두산 등 SMR 글로벌 진출 박차
  • 유럽·미국 중심으로 파트너십 및 입찰 경쟁 중

분석:
SMR은 기술 + 정치 + 환경 규제라는 3박자 대응 필요
중장기 주도권 선점을 위한 선점 경쟁 본격화


🔹 4. 체코 24조 원 원전, 이달 말 최종 계약 유력

👉 기사 보기

  • 한국형 원전의 체코 수주, 한-체코 간 기술 신뢰 기반
  • 현대ENG, 두산에너빌리티 등 컨소시엄 참여

분석:
동유럽 중심 원전 수주는 장기적 수익 + 국익 연계 사업
수주 성공 시 국내 원전 산업계 ‘실적 회복’ 신호탄


🔹 5. 정권 변화로 원전·에너지 정책 '시계제로'

👉 기사 보기

  • 대통령 탄핵 이후, 에너지·원전 정책 방향 불투명
  • 산업계 "수주에는 영향 없어도, 국내 기반 정책 동력 상실 우려"

분석:
정책 일관성 없으면 기업 전략 흔들림 커짐
수소·원전 분야 투자 결정 ‘스탠바이’ 상태


🔹 6. 사우디 네옴시티, 자금 압박에 속도 조절 확인

👉 기사 보기

  • 위성 이미지 분석 결과, 네옴 프로젝트 일부 구간 공사 속도 급감
  • 국제금융시장 자금 조달 난항 → 계획 조정 가능성 제기

분석:
한국 건설사도 대거 참여 중 → 수주 이익 회수 속도 지연 우려
추후 대금 지급 및 공기 연장 이슈 발생 가능


🔹 7. 방콕 빌딩 붕괴…中 시공사 자재 '저질 논란'

👉 기사 보기

  • 태국 방콕 신축 빌딩 붕괴…中 시공사 납품 자재에서 기준 이하 품질 다수 확인
  • 시공 안전에 대한 글로벌 신뢰 이슈 부각

분석:
국내 건설사에겐 품질·안전 중심 수주 전략이 차별화 무기
해외시장 신뢰 확보에 중요한 레퍼런스로 작용 가능


🧩 종합 요약

불확실성의 시대, 건설업계는 "주택 말고 미래"를 준비 중입니다.

  • 에너지 전환 (원전·수소·SMR)
  • 해외 진출 확장 (유럽, 미국, 중동)
  • 국내 정책 변수 관망

이제 건설산업은 단순 시공업이 아닌 전략산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