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부동산 뉴스 브리핑 ('25~)

[부동산 뉴스 브리핑] 도심융합특구 확대, 리모델링 기준 신설…잠실은 멈췄다 (‘25.04.22)

by 일상, 아이디어 2025. 4. 22.

도심융합특구 확대, 리모델링 기준 신설…잠실은 멈췄다 (‘25.04.22)

 

🧩 종합 요약: "전환기 진입…멈춘 곳과 움직이는 곳의 경계선"
- 정책은 지방 분산, 리모델링, 공정 기준 등 ‘틀을 정비’
- 중강남권과 일부 지역은 ‘관망 속 호가만 상승’
- 공급정책과 실행력 사이 간극 커지는 분위기
- 부동산 산업 전반이 ‘선별 생존의 시대’로 진입 중

 

건설·도시정비·중개업계 모두에서
변화와 조정의 흐름이 맞물리는 하루였습니다.
‘지방 중심 도심융합특구’로 패러다임이 이동하는 동시에,
서울은 리모델링 규제와 토허제 여파 속에 속도 조절에 들어갔습니다.

 


🔹 1. 국토부, 도심융합특구 종합계획 수립 착수

👉 기사 보기

요약:
국토부가 비수도권 15곳 중심으로
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 수립 착수

분석:

  • 기존 산업·업무 중심지 → 주거·문화 융합형 개발로 전환
  • 지방 광역권 도시의 ‘작은 세종화’ 전략
  • 지역균형 + 재정비사업 활성화 효과 기대

🔹 2. 1기 신도시 선도지구, 2차는 가속…1차는 분담금 논란

👉 기사 보기

요약:
2차 선도지구 지정 준비 분주
→ 반면 1차 선도지구는 억대 분담금 문제로 주민 반발

분석:

  • 연차별 정비계획 수립은 진행
  • 비용분담 갈등으로 정책 신뢰도 하락 우려
  • '가시적 성과'보다 ‘체계적 로드맵’ 필요성 부각

🔹 3. "비싼 자재 말고 국산"…공사비 상승에 조합 전략 변화

👉 기사 보기

요약:
조합들, 브랜드보다 시공사 내실·가격 고려 전략 전환
→ 수입산 고급 자재보다 가성비 중심 국산 전환 선호

분석:

  • 고금리 + 공사비 상승 여파
  • 시공사 선정 기준 다변화 → 브랜드 위주 경쟁력 약화
  • 조합·시공사 모두 ‘실속’ 중심 체질 개선 신호

🔹 4. 토허제 재지정 후 잠실 시장, 실거래 ‘0건’

👉 기사 보기

요약:
잠실 주요 단지들,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이후
실거래 ‘제로’, 거래절벽 장기화 조짐

분석:

  • 강남·송파 등 토허제 핵심지 관망세 본격화
  • 허가구역 외 지역으로 풍선효과 확대 우려
  • 정책은 유지되나, 시장은 멈춤 상태

🔹 5. 서울시, 리모델링 철거 기준 신설 추진

👉 기사 보기

요약:
서울시, 아파트 리모델링 시 철거 기준과 절차 신설
→ 구조안전성과 공공성 강화 목적

분석:

  • 리모델링 시장 성장에 따라 제도 정비 필요성 반영
  • 향후 ‘리모델링 속도’ 조절 변수로 작용할 수도
  • 재건축 대체 수단에 대한 제도 기반 강화

🔹 6. “5억 올랐습니다”…투자자 몰리는 지역은?

👉 기사 보기

요약:
일부 지역, 3월 대비 5억 원 이상 급등 사례 등장
→ 실거래 없이도 호가 상승, 투자심리 과열 신호

분석:

  • 입지 따라 ‘초격차 현상’ 확대
  • 실수요 기반 약한 급등은 단기 조정 위험 내포
  • ‘정책 공백기 투기심리’ 경계 필요

🔹 7. 공인중개사 개업자 수, 사상 첫 1천명 아래

👉 기사 보기

요약:
2025년 3월 전국 공인중개사 신규 개업자 수 924명
사상 처음 1,000명 아래로 하락

분석:

  • 거래절벽 + 관망심리 = 창업 환경 악화
  • 지역 중개사무소 중심으로 폐업 증가 예상
  • 부동산 산업 내 구조조정 본격화 조짐

 

반응형